- 1 -
새로운 방식의 전도성 고분자 기반 
전기화학 다이오드 소자 개발
-
세계 최고수준의 전류밀도를 갖는 수계전해질 고분자 다이오드 소자 
구현 및 아날로그·디지털 전해질 회로 구성 데모
□ 다양한 생체 전자 소자 및 회로에 응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동 원리를 
갖는 전도성 고분자 기반 전기화학 다이오드 소자가 국제 공동연구로 
개발됐다. 세계 최고수준의 전류밀도를 갖는 수계전해질 고분자 다이
오드 소자로, 차세대 체내이식형 소자와 회로 구현에 이바지할 것으로 
기대된다. 
□ 지스트(광주과학기술원, 총장 김기선) 신소재공학부 윤명한 교수 연구
팀은 영국 임페리얼 컬리지 런던(ICL)의 마틴 히니(Martin Heeney) 교
수(現 지스트 신소재공학부 객원교수)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유기
물 혼합형 전도체*를 이용한 새로운 정류 소자를 선보였다. 
  * 유기물 혼합형 전도체(organic mixed ionic-electronic conductor: OMIEC): 금속과 
같은 단순 전기전도체가 아닌, 전해질 내에서 이온 전도성와 전기 전도성을 동시에 
갖는 재료로, 전해질 환경에서 생체전기신호를 증폭하는 소자 및 유연 전자 소자의 
반도체 재료로 활용됨. 
□ 일반적인 유기물 기반 다이오드는 p형-n형 유기물 반도체의 접합이나, 
지스트(광주과학기술원) 보도자료
http://www.gist.ac.kr 
보도시점
배포 즉시 보도 부탁드립니다.
배포일
2022.01.11.(화)
보도자료
담당
홍보팀 조동선 팀장
062-715-2061
홍보팀 이나영 선임행정원 
062-715-2062
자료 문의
신소재공학부 윤명한 교수
062-715-2320
- 2 -
금속-유기물 반도체의 접합 등을 통한 구현이 가능한 반면, 정교한 에
너지 준위 제어를 필요로 하며 낮은 구동 안정성 및 낮은 전류특성을 
갖는 단점이 있다.
 ∘ 본 연구에서 제안한 유기물 혼합형 전도체는 기존 유기물 반도체 재료
에 비해 높은 전하밀도에 의한 높은 전기적 특성을 구현할 수 있었으
나, 전해질 내에서 구동하는 특성상 기존 접합형 다이오드 구조로는 
정류기능 구현이 불가하였다. 
□ 연구팀은 기존 접합형 다이오드의 에너지 준위의 휘어짐을 통한 전류 
정류 구동 원리가 아닌, 간단한 패터닝만으로도 구현이 가능한 비대칭 
활성층 제작에 따른 집중/분산된 도핑/디도핑 현상을 이용한 새로운 전
류 정류 소자를 선보였다. 
 ∘ 이를 컴퓨터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구현 가능성을 확인하였고, 새롭게 
제시한 소자 작동 중 실시간 광학적 전위 매핑 기술을 이용하여 활성
층 내 전위 분포를 실험적으로 측정 및 수치해석 결과와 비교하여 구
동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.
□ 최종적으로 선보인 유기물 혼합형 전도체 기반의 유기물 전기화학 다
이오드는 0.6 볼트 수준의 낮은 전압 범위 내에서도 30,000 A/cm-2 수
준의 높은 전류밀도를 갖는 소자를 구현하는데 성공했다. 
□ 윤명한 교수는 “유기물 전기화학 트랜지스터만으로 구동할 수 없는 
다양한 응용 소자와 응용 회로에 사용할 수 있어 차세대 체내이식형 
생체전자소자 구현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”고 밝혔다.
□ 지스트 윤명한 교수와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의 마틴 히니(Martin 
Heeney) 교수가 주도하고, 지스트 김영석 박사과정생, 김건우 석사과
정생,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보웬 딩(Bowen Ding) 박사과정생이 공동
으로 수행한 본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중견연구자지원사업, 미래소재
- 3 -
디스커버리사업 등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으며, 과학기술 전문 권위
지인 Advanced Materials에 2022년 1월 10일 온라인 게재되었다.  
<끝> 
논문의 주요 내용
1. 논문명, 저자정보 
 - 저널명 : Advanced Materials (IF= 30.849 (2020년))
 - 논문명 : High Current-density Organic Electrochemical Diodes Enabled by 
Asymmetric Active Layer Design
 - 저자 정보 : 김영석(제1저자, 지스트), 김건우(공동 제1저자, 지스트), Bowen 
Ding(공동 제1저자, 임페리얼 컬리지 런던), 이인호(아주대), 
정다현(카이스트), 김범준(카이스트), 박성준(아주대), Iain 
Mcculloch(킹 압둘라 과학기술대학교), Martin Heeney 
(공동교신저자, 임페리얼 컬리지 런던), 윤명한 (교신저자, 
지스트)
- 4 -
그 림 설 명
[그림1] (좌) 본 연구에서 제안한 소자의 모식도와 (우) 비대칭 활성층 형성을 통한 
전류 정류 특성 그래프
[그림2] (좌) 본 연구에서 제작한 정류소자의 아날로그 신호 처리 회로의 측정 
이미지, 회로도와 (우) 측정 결과 그래프
- 5 -
[그림3] (좌) 본 연구에서 제작한 정류소자의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의 회로도 
(AND, OR, XOR 게이트 연산)와 (우) 측정 결과 그래프